Notice
Recent Pos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이클립스
- 스프링
- jstl
- 필터체인
- 자바스크립트
- jsp 내부객체
- SESSION
- html
- 깃허브 간단요약
- 깃허브
- jsp
- Eclipse
- 알고리즘
- 폼태그
- Spring
- Oracle
- 제이쿼리
- 설정
- 오라클
- java
- MySQL
- 셋업
- 버튼
- 면접
- EL태그
- jquery
- 설치
- 자바
- springboot
- 마이바티스
Archives
- Today
- Total
은은하게 코드 뿌시기
뷰 리졸버/ViewResolver 본문
728x90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스프링 백엔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나 가지고 왔다면, 이데이터를 VIEW영역응로 전달 해야한다.
이때 VIEW를 어떤것으로 사용할지 자유롭게 설정할수있는데
이설정역할을하는 것이 View Resolver라고 생각하면된다.
View Resolver를 통해서 JSP, Thymeleaf, Velocity, FreeMarker, JsonView 등으로 전달 해줄수 있다.
원하는 뷰타입으로 Dependency를 추가하면 Thym
View Resolver 가 View 요청하면
Distpacher Servelet 이 View name을 리턴한다.
XML을 통한 설정방식으로는
servlet-context.xml 파일에 아래와같이 설정 해줄 수있다.
1
2
3
4
5
|
<!-- Resolves views selected for rendering by @Controllers to .jsp resources in the /WEB-INF/views directory -->
<beans: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beans: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views/" />
<beans:property name="suffix" value=".jsp" />
</beans:bean>
|
cs |
728x90
'웹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Interceptor/ 인터셉터와 필터의 차이 (0) | 2022.08.24 |
---|---|
log4j - DB로그 설정하기 dataSourceSpied (0) | 2022.08.24 |
[spring] - 스프링 경로, 스프링 파일 /경로/설정/키워드 요약 (0) | 2022.08.24 |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 (0) | 2022.08.23 |
spring - 테스트코드를 통한 확인 (0) | 2022.08.23 |
Comments